경제News
3월 경제 ‘불균형 회복’ 경고등.."반도체 ↑, 소비는 뚝"
기사입력 2025.04.30. 오후 04:58
하지만 서비스업 생산은 0.3% 감소했다. 특히 도소매업 생산이 3.5% 줄며 전체 감소세를 이끌었고, 금융·보험(-2.1%)과 정보통신(-2.1%)도 부진을 보였다. 이는 내수 경기에 대한 불안정성을 반영한다. 소비 측면에서도 부진이 두드러졌다. 소매판매지수는 전월보다 0.3% 줄었고, 특히 통신기기·컴퓨터 등 내구재 판매가 8.6% 감소했다. 다만 음식료품(2.8%)과 의복(2.7%) 등 비내구재·준내구재는 소폭 상승하며 명맥을 유지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소매판매가 1.5% 증가했는데, 이는 2023년 6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통계청은 전기차 보조금 집행과 신제품 출시 등 정책적·일시적 요인의 영향을 시사했으며, 지속 가능한 회복 여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유지했다.
설비투자는 0.9% 감소했다. 운송장비 분야는 3.4% 증가했지만, 농업·건설·금속기계 등의 기계류는 2.6% 줄며 전체 투자를 끌어내렸다. 건설업 역시 부진을 면치 못했다. 토목과 건축 실적이 동반 하락하면서 생산이 2.7% 감소해, 2월 반짝 회복세가 1개월 만에 꺾였다. 건설 수주 또한 전년 동월 대비 8.7% 감소했는데, 정부는 과잉투자 조정과 일시적 사고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했다.

1분기 전체 기준으로 보면 전산업생산은 전기 대비 0.2% 증가했지만, 4분기(0.4%)보다 증가폭이 축소됐다. 소매판매는 분기 기준으로도 0.7% 증가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보합세를 나타내며 11분기 연속 감소 흐름을 끊었다.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은 각각 1.9%, 6.1% 줄었다. 현재 경기를 반영하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상승,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오름세를 보였다.
정부는 이러한 복합적 지표를 두고 내수 회복에 기대를 걸면서도, 미국의 對한국 전기차·배터리 부품 관세 부과 등 외부 변수로 인한 불확실성을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꼽았다. 정부는 미국과의 협상을 병행하면서 국내 피해 기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추경 예산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장기 침체가 우려되는 건설 분야는 민간·공공, 건축·토목 전반에 걸쳐 부진 요인을 점검하고 투자 지체 해소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내수 위축을 방지하고 소비 심리를 살리기 위해 취약 부문 지원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전반적으로 3월 산업활동은 반도체 주도의 수출 산업 회복이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지만, 서비스업·소매판매·설비투자·건설 등 내수 지표의 전반적 부진은 여전히 경기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정부는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와 추경 편성 등 내부 요인을 기반으로 소비 진작과 경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지만, 외부 리스크의 잠재적 충격과 국내 소비 회복의 지속성 여부에 따라 향후 경제 흐름은 큰 폭으로 달라질 수 있다는 전망이다.